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열풍이 사라졌다고 하지만, 그래도 작은 수입이라도 얻어볼까해서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 역시 직장 퇴직 이후 수입을 늘리고자 스마트스토어를 개설하였는데요.
국민연금이 중단되어있다고 해도 스마트스토어를 위해 사업자등록 신청을 하게 되면 납부를 재개해야하는데요.
이때 국민연금 납부 유예 신청을 하는 법을 알면 일정기간은 납부를 유예할 수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 개설은 쉽지만, 이후에 여러가지 필요한 부분들로 인해, 사업자 등록을 신청하는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탁판매를 위해 가입, 택배사 설정 등을 위해서 신청을 하게 되는데요.
사업자 신청은 인터넷으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처음 해보는 저 역시 10분도 안걸렸으니깐 말이죠.
이후 몇일이 지나면 국민연금 납부 신청을 받게되면 당황하게 됩니다.
수입이 없는데 연금을 내야하니깐 말입니다. (나라에서는 사업자등록신청을 하면 소득활동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이때는 국민연금 납부 유예 신청을 하면 해결할 수있습니다.
사업자를 등록한 이후로 일정기간 수입이 적거나 적자가 나는 상황에 대해서는 유예가 가능합니다.
먼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하단의 1355 고객센터로 전화합니다.
국민연금공단
자주 찾는 서비스 팝업존
www.nps.or.kr
상담원과 통화하고 국민연금 납부 유예 신청을 요청하면, 관할 지사의 연락처를 알려줍니다.
이때 별도의 말을 안해도 문자로 보내줍니다. (물론 "문자로 부탁드릴께요" 이렇게 말하면 서로 편하겠지요.
이후 발송받은 문자에 있는 지사 연락처로 연락을 해서 상담을 진행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아래 내용으로 국민연금 납부 유예신청을 하였습니다.
"무직상태에서 스마트스토어를 시작했는데, 사업자 등록이 필요해서 신청했습니다."
"이후 국민연금 납부 신청이 들어왔지만, 현재 소득이 없는 상태라서 유예신청을 하려고 합니다." 라고 말이죠.
초기의 경우 6개월까지 납부 유예가 가능하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이러면 필요한 항목을 기재해서 확인서를 팩스로 보내라고 하는데요.
필요한 항목은 대상자 인적사항, 주민번호, 연락처, 납부예외사유, 작성일자, 성함, 서명 등을 작성한 다음 팩스로 보내면 됩니다.
팩스가 집에 없는 경우에는 핸드폰으로 모바일 팩스를 이용하시면 쉽게 처리할 수있습니다.
이후 작성한 국민연금 납부 유예신청 확인서를 팩스로 보낸 후 5분정도 지나 담당자와 통화하면 처리에 대한 답변을 받게 됩니다.